단순히 황제로 육성하는 게임인 줄 알았다. 능력치를 골고루 높게 올려야 왕이 될 확률이 높았고 그것이 공략의 정석이었다. [“전 무엇을 하면 될까요?”] 두 손을 꼼지락거리며 묻는 아이를 보고 있자면 가슴이 찡해졌다. 제가 황자인 것도 모르고 버림받은 본인을 주워준 은인에게 은혜를 갚고자 눈치를 보는 설정이라니. 원래 같으면 그런 아이에게 계속 집안일을 시켜 기초 체력을 만드는 게 정석이었지만…! ‘저런 오동통한 손에 걸레질이라니! 절대 그럴 수 없지!’ 집안일은 절대 시키지 않고 대부분 독서, 공부만 시켰다. 가끔 스트레스가 쌓일까 봐서 바캉스도 보냈다. 조금 더 크자 아카데미로 보낼지 집에서 과외를 할지 고르라는 선택지가 이어졌다. 원래는 아카데미로 가서 힘이 되어줄 인맥을 만드는 것이 정석이었으나…! ‘요즘처럼 학교 폭력이 위험한 시대에 아카데미는 무슨! 집에서 곱게 키워야지.’ 과외를 시키고 여전히 집안일이나 심부름은 시키지 않았다. 다만 공부를 열심히 해서 박학다식하다는 소문이 퍼져 마을 사람들이 조언을 구하러 왔다. 조언이 도움이 되면 금전을 벌어들였다. ‘나 고생하지 말라고 이렇게 돈도 벌어오다니. 장한 것!’ 자상하고 말 잘 듣는 2D 아이였다. 덤으로 잘생기기까지 한. 황제가 되지 못하더라도 평화롭고 평범한 해피엔딩이 이루어지길 바란 것이 잘못이었을까. ‘이상하네. 또 살인 사건에 관련된 자문이 들어왔네.’ 아니면, 마을 사람들의 조언이 대부분 섬뜩한 것임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 탓일까. [덜 닦인 핏자국을 발견했습니다.] ‘…응? 왜 집구석에 핏자국이 있지? 아니, 그보다 이게 육성게임이랑 무슨 관련인데?’ [“무슨 일이세요? 뭔가 못 볼 것이라도 본 얼굴이세요.”] 다정히 미소를 짓는 아이를 한 번도 의심하지 않은 게 문제였을까. 단순한 육성게임인 줄 알았던 게임이 사실은 공포 게임이라는 것을 인지한 것은 나중의 일이었다.